노인 부종은 10명 중의 7명에게 볼 수 있는 흔한 질환입니다. 부종이 나타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습니다. 또한 몸 어느 부분에서나 생길 수 있으나 원인을 잘 알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부종을 왜 관심 깊게 봐야 하는 이유는 여러 질환의 징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노인 부종은 혈관에 부종이 생기면 더 발전되어 혈전이 되어 혈관질환이 될 수도 있는 것처럼 부종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다른 질환으로 확장되는 부분들이 많이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부종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원인 질환을 먼저 찾아보아야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노인 부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노인의 부종은 어떤 것일까요?
부종은 혈관 밖에의 체액이나 수분들이 일반적이지 않게 축적되어 세포들 사이에 체액이 늘어나면서 발생되어 붓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부종은 몸 어느 부분에서나 생길 수 있으며 대개 부종 증세가 나타나기 전에 몸무게가 증가하는 현상이 먼저 나타납니다. 오래 누워 지내는 와상 노인들에게는 등 아래쪽의 천골 부위에 부종이 잘 생기며 이 이외에도 얼굴이나 손, 복수가 차이도 하고 폐부종 및 흉막등에 부종이 생길 수도 있다. 보통 많이 나타나는 부위는 하지에 나타나는데 제대로 원인을 찾기는 힘들지만 중력의 영향으로 몸의 아랫부분에 수분이 축적되기 쉽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이 됩니다. 부종은 크게 어떤 특정 위치에 나타나는 국소 부종과 전신에 나타나는 전신부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러면 먼저 노인 부종 중 국소부위에 나타나는 질환을 좀 더 자세히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국소 부종으로나타나는 질환
국소 부종으로 나타나는 질환은 다리면 다리처럼 특정 부위에 국한되어 부종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1) 만성 정맥부전
만성 정맥부전은 노인에게 흔한 하지 부종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정맥의 탄력이 떨어지고 정맥 내의 판막도 약해짐에 따라 심장으로 충분한 혈류를 못 보내기 때문에 나타납니다. 살을 눌려보고 난 후에 다시 돌아오지 않는 함요 부종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노인들은 피부가 얇아짐에 따라 피부 색상이 갈색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으며 심해질 경우에는 피부 궤양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와 함께 피부 가려움 현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2) 심부정맥 혈전증
심부정맥 혈전증은 정맥 혈류 장애로 정체된 혈액이 굳어서 혈전이 되어 혈관을 막는 질환으로 색전증을 말합니다. 심부정맥 혈전증은 특히 다리 중 종아리에 정맥에 잘 생기고 통증과 함께 붓기는 것이 주요 증상입니다. 이 질환은 골반이나 팔에 발생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부정맥 혈전증은 응급한 상황은 발생되는 많지는 않지만 중증도가 심한 경우에는 필히 신속하게 치료가 필요합니다. 심부정맥 혈전증은 폐 혈전증으로 발전될 수도 있고 폐 혈전증이 동반되는 경우들이 있기 때문에 질환이 발견되었을 때에는 폐 혈전증 유무를 알고 신속하게 치료해야 합니다.
3) 림프부종
림프부종은 몸 전체를 순환하는 얇고 투명한 림프가 사이질에 정상보다 많이 고이는 만설질환으로 대부분 다른 원인들에 의해 생기는 2차적인 증상의 2 차성 림프부종입니다. 몸에서 먼 쪽에서 천천히 시작하여 차츰 몸의 중심 쪽으로 진행하게 되며 몸을 높게 올려놓아도 일반 부종과는 다르게 며칠에 걸쳐 매우 서서히 부종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통 림프 부종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전립선압이나 림프종 같은 종양이나 유방암수술 등으로 인해 임파선을 포함한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해 림프액의 순환하지 못하고 축적되어 막힌 부위에 부종이 발생하게 됩니다. 림프부종은 통증이 없으며 손가락으로 피부를 눌렀다가 뗄 때 잘 함몰이 되지 않고 바로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으며 피부가 두꺼워지고 과각질 화현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림프부종이라는 것을 알았을 시에는 림프관이 손상이 되면 복구가 어렵고 손상될수록 합병증이 발생될 경우가 많으니 빨리 치료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노인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부종 중 국소부종과 국소 부종이 나타나는 질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소한 증상으로 여겨지기도 하는 부종들이 질환의 증상을 알려주는 신호라는 점에 대해 쉽게 넘기지 마시고 정확한 진단을 통해 원인 치료를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