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인성 고혈압의 증상과 예방 총정리

by 슈퍼시니어 2022. 9. 12.
반응형

고혈압을 측정하는 모습
출처: https://pixabay.com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30% 정도가 고혈압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고혈압이 있을 시에 심뇌혈관계 등의 다양한 2차 질병을 동반하여 합병증이 많고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소리 없는 살인자"로도 불리는 노인성 고혈압에 대해 잘 알고 살펴봐야 합니다. 그럼 노인성 만성질환 중 하나인 노인성 고혈압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노인성 고혈압에 대해서

혈압은 심장에서 뿜어내는 혈액이 혈관벽에 미치는 힘을 잰 것으로 음주 통증 몸의 자세, 정신적인 긴장, 신체활동, 감정 니나 계절 등에 따라 변화합니다. 노인성 고혈압(hypertension, high blood pressure)은 나이가 많아지면서 혈관이 좁아지거나 혈압을 조절해주는 자율신경 기관의 활동이 떨어지면서 혈관 탄력성이 낮아지면서 심장에서 한 번에 내보내는 혈액의 양이 많아지면서 혈압이 정상 범위로 수축 시 140mmHg 이상일 때와 이완 시 90mmHg 이상일 때보다 높은 경우를 말합니다. 수축 시 혈압이 높을수록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지고 이완 시 90mmHg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에는 심장 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게 됩니다.나이가 높을수록 동맥 내벽 세포의 혈관 확장 기능이 낮아져서 오히려 수 죽시 혈압이 높을 수 있습니다.

고혈압의 발생원인

노인성 고혈압의 발생원인에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고혈압을 기존부터 앓고 있었거나 노년기에 접어들어 새롭게 생기는 경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의 90%가 원인을 알 수가 없는 본태성 고혈압입니다. 5~10% 정도가 신장질환, 심장질환, 내분비질환 등으로 생기는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타납니다. 이차성 고혈압은 원인이 되는 질병이 치료가 되면 혈압도 저하될 수가 있습니다. 고혈압은 한 가지 원인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며 이 중 가족 중에 고혈압이 있는 가족력으로 유전적인 요인이 가장 흔하고 과도한 음주나 스트레스가 많거나 짠 음식을 즐겨먹거나 비만 등의 생활습관과 환경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노인성 고혈압의 증상

노인성 고혈압은 증상이 거의 없으며 종종 건강검진에서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축기 고혈압이 많으며 일부 나타나는 증상은 코피가 나거나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는 증상이 있습니다. 어지러움, 이명, 현기증이 나타나기도 하며 뒷머리가 뻐근하게 아프거나 흐리게 보이는 시력저하가 있을 때도 있습니다. 노인성 고혈압은 하루 중 특히 이른 아침에 혈압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두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의자나 침대에서 일어날 때 혈압이 낮아지는 기립성 저혈압이나 식사 후에 혈압이 떨어지는 식후 저혈압의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심하게 되면 뇌동맥 파열로 뇌졸중이 올 수도 있고 사망에 이르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혈관의 변동성이 적어져서 야간이나 잠을 잘 때의 혈압 저하는 젊은 사람들에 비해 덜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노인성 고혈압 관리와 예방법

혈압을 규칙적으로 측정하여 변화에 대해 꾸준히 관찰해야 합니다.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하여 약물의 종류나 용량을 결정하며 절대로 마음대로 용량을 조절하거나 약을 끊어서는 안 됩니다. 꾸준한 치료에도 고혈압이 계속될 때에는 전문의와 상의하여 약을 바꾸거나 정밀검사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나트륨은 혈액 속의 수분량을 높여 혈액부피를 늘리고 혈관을 팽창시키기 때문에 저염식단을 해야 합니다.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은 피하고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드셔서 식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항상 즐거운 생활을 하며 스트레스는 피하고 정신적인 안정감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혈압을 낮추고 혈관의 탄성을 유지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해야 합니다. 운동을 병행하며 체중을 조절하여야 합니다. 적당한 체중이더라도 복부비만인 경우는 심혈관계 질환이 올 수 있기 때문에 꾸준히 관리를 해야 합니다. 흡연은 동맥경화와 심근경색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금연을 하셔야 합니다. 알코올은 고칼로리이고 혈압을 상승시키며 혈압약의 효과를 떨어트리기 때문에 음주는 최대한 자제하셔야 합니다.

오늘은 노인성 만성질환 중 하나인 노인성 고혈압을 알아보았습니다. 앞에서 알아본 노인성 고혈압의 증상과 발생원인 및 관리와 예방법을 참고하셔서 더욱 건강한 노후생활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