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인성 당뇨병을 파헤쳐보자

by 슈퍼시니어 2022. 9. 18.
반응형

노인성 당뇨로 인해 당뇨측정을 하는 모습
출처: https://pixabay.com/

당뇨병은 과거에 부자병이라고 하여 뚱뚱한 사람들이 주로 걸리는 병으로 인식되었으나 현대사회에 들어서는 잘못된 식습관 등으로 인해 당뇨에 노출된 경우가 더 많습니다. 노인성 당뇨는 나이가 들수록 많이 생기는데 실제로 대한민국 노인 중 22%가 넘는 분들이 당뇨를 앓고 있고 있다. 노인성 당뇨는 자각증상이 없고 합병증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무서운 병이며 한번 발병이 되면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소리 없는 살인마"라고 불립니다. 당뇨병이 있는 환자들은 일반인보다 평균 8년 정도 수명이 짧고 사망률도 2~3배 정도 더 높기 때문에 미리 노인성 당뇨에 대해 잘 알아두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노인성 당뇨에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노인성 당뇨

노인성 당뇨는 60세 이상이의 장년층에게 주로 발생되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면서 내분비계 질환으로 신체 내부 중 피 속의 포도당 수치를 조절하는 인슐린이 잘 분비되지 않거나 부족하게 분비되는 등의 이유로 포도당의 수치가 높아지게 되어 소변에 당이 섞여서 나오게 되는 질환으로 일종의 대사질환입니다. 노인성 당뇨병의 특징으로는 혈당의 높고 낮은 변화가 큰 혈당 변동성(glucose variability)의 위험이 높다는 것입니다. 혈당 변동성은 식사 후에 고혈당 증세이나 저혈당 증세 때에도 감각이 무뎌짐에 따라 저혈당 무감지증의 위험이 높습니다.

2. 식후 혈당 관리와 저혈당에 주목하라

노인성 당뇨의 특징은 공복혈당은 정상수치였다가 식후에 140~199mg/dL정도로 수치로 혈당조절이 잘 안 되는 식후 혈당 장애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말은당뇨병에 내성이 생겼다는 것으로 내당능장애라도 불리고 있습니다. 식후 혈당 관리가 안 되는 이유 중에는 노화로 인해 췌장도 노화가 되어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가 느려지게 되어 혈액 내에 포도당 흡수를 해야 하는 인슐린이 적어서 식후 높아지는 혈당을 잡지 못하는 장애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리고 노화로 인해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근육량이 적어지면서 기초대사율도 감소되고 혈당이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저혈당은 높은 혈당관리에만 집중하다 보니 인슐린 과다투입과 당뇨약을 많이 복용하게 되어 혈당을 필요 이상으로 떨어뜨리게 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혈당의 증세로는 두통과 시야가 몽롱하는 등과 어지로 움, 무기력증, 식은땀을 많이 흘리거나 떨림과 배고픔을 느낍니다. 저혈당 증세를 방치하게 되면 쇼크가 오기도 하고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3. 노인성 당뇨치료와 예방관리

노인성 당뇨를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당 조절을 위해서는 단 음식과 술을 제한하고 소금의 양을 줄이며 다양한 영양소를 고려하여 하루 세 번 규칙적이고 계획성 있는 식사를 해야 합니다. 특히 아침식사를 넉넉하게 하고 저녁식사를 적게 하는 것이 고혈당을 감소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아침식사를 안 하면 57% 당뇨 발생률이 높아진다고 하니 아침식사를 하시고 3:2:1의 순으로 아침, 점심, 저녁의 식사량을 조절하시면 됩니다.

운동을 할 때에는 저녁 운동보다는 아침에 운동을 하는 것이 저혈당을 일으킬 확률이 낮다고 합니다. 또한 무리한 운동보다는 적당한 운동으로 많이 걷는 운동 등의 유산소 운동을 권유드립니다.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식사를 하고 2~3시간 후에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복 시 운동할 때에는 저혈당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합니다. 운동 중 식은땀이 나거나 어지러울 때에는 즉시 당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추운 날에는 실내에서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온도 차이가 많이 나면 심장마비가 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당뇨가 있으면 발의 감각이 둔화되어 발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합병증 예방을 위해 발에 잘 받는 운동화를 신고 발에 상처에 생기지 않게 주기적으로 관찰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노인성 질환 중 대표적인 노인성 당뇨병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꾸준한 관리를 통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지않게 주기적으로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