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하지방이 줄어들고 피부가 얇아지게 되면서 탄력도 떨어지게 됩니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피부는 다양한 변화를 겪게 되고 주름살도 깊어지고 여러 가지 피부질환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나 노인 10명 중 5명이 한 가지 이상의 피부질환이 있지만 가벼운 증상으로 생각하거나 진료비가 부담이 되어 치료를 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겨울이 찾아오면서 건조한 날씨로 인해 피부 건조증이 더욱의 발병이 높아지게 됩니다. 오늘은 어르신들에게 유난히 많이 겪고 있고 생활에 불편함과 함께 고통까지 주는 피부 건조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을, 겨울철이 두려운 노인피부 건조증
노인 피부 건조증은 노인성 피부질환 중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소양증이라도 불립니다. 피부 건조증은 노화에 따라 피부 표면의 지질히 얇아지게 되면서 수분과 지질히 감소하게 되어 피부 보호 기능이 약해지면서 쉽게 건조해지게 됩니다. 또한 피부가 심하게 땅기거나 거칠거칠해진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팔이나 다리에 가려움증이 나타나게 되며 염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요즘은 목욕하는 횟수가 잦아지고 주거환경이 변화하는 등의 이유로 노인뿐만 아니라 젊은 사람들에게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건조한 상태가 지속되게 되면 하얗게 인설이나 각질이 일어나거나 울긋불 듯해지고 더 진행하게 되면 피부가 마른 논바닥처럼 갈라지게 되어 가려운 증상이 동반하게 됩니다. 특히 건조하고 추운 날씨인 가을, 겨울에는 피부의 신진대사가 떨어지게 되면서 몸에서 빠져나가는 수분량이 많아지면서 더 많이 건조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이 더욱 진행하게 되면서 가려움 증상이 증대하여 과도하게 피부를 긁게 되면 상처가 생기면서2차 세균 감염의 위험이 생기게 됩니다.
노인 피부 건조증의 4가지 예방법
노인 피부 건조증은 처음에는 가려움증으로 시작하지만 참고 방치하게 되면 시간이 갈수록 악화되어 만성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면 노인 피부 건조증을 예방할 수 있는 4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피부의 자극을 최소한으로 줄입니다.
평소에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주고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인조섬유나 표면이 거친 소재, 모직물 등의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옷을 입는 것을 자제해야 합니다. 되도록 땀을 흡수할 수 있는 면 소재로 된 옷을 입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2. 피부 보습제으로 수분을 보충합니다.
평소에 피부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부에 염증이 없고 건조증만 있을 때에는 보습제만 발라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목욕 후 피부에 물기가 좀 남아 있는 상태에서 보습제를 도포하여 수분이 피부에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합니다. 보습제는 얼굴 뿐만 아니라 팔과 다리 등 전신에 발라야 합니다. 건조증이 좀 심할 경우에는 세라마이드 성분이 함유한 보습제로 피부에 부족한 지질을 채워주는 것이 좋고 각질이 많을 경우에는 각질 완화제를 같이 사용해도 좋습니다.
3. 목욕할때 습관을 바꿔야 합니다.
날씨가 추워지게 되면 사람의 몸체 온보다 높은 뜨거운 물로 목욕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뜨거운 물이 피부에 닿게 되면 피부 보호막이 손상되기 때문에 사람의 체온과 비슷한 온도로 목욕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너무 잦은 목욕은피부의 수분을 뺏아가기 때문에; 샤워는 1~2일에 한번 가볍게 하고 욕조에서 하는 목욕은 한번에 20분이상을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사우나를 하는 것은 피부장벽에 있는 지질막을 손상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하는 것은 삼가하기 바랍니다. 또한 각질이 일어난다고 하여 때를 미는 등의 행위는 지질막과 피부를 손상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합니다. 부드러운 수건으로 가볍게 문질러주는 것이 좋고 목욕 후 3분이내에 보습제를 발라주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4. 실내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날씨가 차가워지는 겨울에는 과도하게 난방을 하게 되어 외부와 실내온도의 차이가 많이 나게 되기 쉽습니다. 실내 온도 1도가 올라가게 되면 습도는 2~3%정도 떨어지게 됩니다.실내 온도 변화 폭을 크지 않게 해야 하며 습도는 50%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습기를 틀어야 할때에는 소독을 철저히 하여 호흡기 질환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하며 잠잘때에 젖은 수건을 널어놓는 방법도 습기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노인의 피부 건조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의 내용들을 참고하시어 겨울철 건조한 날씨에 노인들이 피부건조증으로 고통받지 않고 옆에서 노인이 자신의 피부를 지킬 수 있도록 꾸준하게 관리를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