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인 요실금, 원인에 따른 증세와 완화방법을 알아보자

by 슈퍼시니어 2022. 9. 30.
반응형

소변이 배출되는 것을 참고 있는 사람들

사람이 살아가면서 늙어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하루에 섭취한 수분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생식활동에서 일정한 수분이 방광에 저장되었다가 배출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일정한 횟수가 아니고 자주 소변으로 배출이 된다면 일상생활에서 많은 불편함과 함께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노인분들은 요실금으로 인해 극심한 스트레스와 함께 자존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오늘은 노인 요실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노인 요실금

생식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질환 중에 하나이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방광 기능과 주변의 근육에 이상이 생기고 되어 방광의 저장능력이 떨어지게 되거나 골반 근육을 조절하는 능력이 약화되거나 호르몬의 더 이상 생성되지 않아 요도기능이 안 좋아지면서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밖으로 흘러나오는 증상을 말합니다. 또는 자율신경 실조증이나 당뇨병, 파킨슨병 등의 각종 약물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발생하며 보통 임신과 출산을 반복하게 되는 여성분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2. 노인 요실금의 원인에 따른 증세

1) 기능성 요실금

기능성 요실금은 요로계의 기능이 정상적이며 인지장애나 부족으로 인한 섬망이나 착각으로 행동장애, 기동 장애나 환경적인 문제로 2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2) 복압성 요실금

복압성 요실금은 전체 요실금의 80~90%를 차지할 정도로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거나 달리기, 점프, 갑자기 크게 웃게 되는 등의 행동을 했을 때 복부 내압이 갑자기 증가하게 되면서 방광이 압박되어 요실금이 생기게 됩니다. 이와 같은 복압성 요실금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의 생성이 감소하게 되어 방광과 요도가 위축되면서 골반근육이 이완이 되고 치골미골근이 약화하여 나타나기도 합니다.

3) 절박성 요실금

절박성 요실금은 치매나 뇌졸증등으로 인해 외 괄약근을 본인 뜻대로 조절을 할 수 없을 때 소변을 보고 싶다고 느끼게 되면 소변을 참기 어려워 미처 화장실에 도착하기도 전에 갑자기 소변을 배출하게 됩니다. 과민한 방광, 뇌졸중 등의 신경계가 손상이 되거나 방광염이 심한 경우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3) 복합성 요실금

복합성 요실금은 절박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로 과민성 방광이나 골반근육이 과하게 긴장하거나 강직되어 나타나기도 합니다. 소변을 하루에 10번이상 보고 소변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면서 바로 참기가 힘들게 되며 화장실에 도착 전에 소변을 배출하게 됩니다.

4) 야간 다뇨

야간 다뇨는 노인들에게 흔히 나타나며 다른 증세들에 비해 대응하기가 용이합니다. 예를 들면 저녁시간대에는 수분 섭취를 제재하거나 잠에 들기 전에 소변을 보게 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거나 약물치료를 하면 됩니다. 야간 다뇨는 한 가지의 이유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잘 관찰하여야 하며 뇌혈관계 질환이나 당뇨, 요로감염, 방광 기능이 떨어져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5) 약물에 의한 요실금

약물에 의한 요실금은 나이에 들게 되면서 여러가지 약물을 복용하게 되면서 중추신경계나 하부요로에 작용하는 일시적으로 요실금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불안과 긴장, 불면증으로 인해 항우울제나 벤조다이 아제핀계 약 등의 안정제 계열의 약물을 과복용하게 되어 정신적으로 혼동을 하거나 운동장애를 유발하게 되어 요실금이 나타나는 경우입니다.

3. 노인 요실금의 완화방법

보통 젊은 사람들의 요실금은 운동을 통해 근육을 강화하여  요실금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지만 노인 요실금은 운동을 통한 개선을 힘들 수 있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여 대처를 해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하루에 소변을 보는 시간을 체크해놓고 소변이 급하더라도 정한 배뇨 시간까지 소변이 실금 하거나 중간에 보션을 배출하지 않게 점점 배뇨시간을 30분이나 1시간 간격을 늘려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방광 압력을 낮춰주고 방광의 크기를 늘려주는 약을 복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노인 요실금과 노인요실금의 증세, 노인 요실금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혹시라도 어머니께서 요실금으로 인해 고생을 하고 있으시면 치료를 받으시고 꾸준히 관리를 하여 재발이 일어나지 않게 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