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욕창의 증상과 치료 및 대처방법을 알아보자

by 슈퍼시니어 2022. 10. 4.
반응형

욕창을 치료하는 드레싱을 준비하는 모습

피부에 욕창이 생기게 되면 치료하는 시간은 아주 오래 걸리지만 욕창이 생기는 것은 정말 순식간입니다. 욕창을 그냥 두게 되면 욕창 부위에 균이 침투하게 되어 패혈증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욕창이 균혈증의 원인이 되어 사망률이 60%에 이를 정도로 굉장히 위험합니다. 오늘은 누워 지내시는 노인들에게 특히 잘 생기는 욕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욕창이란

욕창은 병상에 오래 누워 지내거나 휠체어에 앉아서 지내는 움직임이 없는 분들에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보통 바닥면에 접촉되고 체중이 압박을 받고 뼈가 튀어나온 부위인 등이나 허리, 어깨, 팔꿈치 등의 신체부위에 지속적 압박으로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게 되어 산소나 영양을 공급하는 혈액이 제대로 공급이 부족해져서 피부나, 피자 지방, 근육이 손상되어 괴사 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욕창이 생기게 되는 이유로는 첫째, 체중감소와 근육 위축, 피하지방 감소로 인해 피부와 뼈 사이의 완충되는 부분이 감소하게 되면서 욕창이 생기게 됩니다. 둘째, 요실금이나 변실금으로 인해 기저귀를 차고 있는 경우에 기저귀 안쪽이 축축해져서 피부가 습해지거나 청결하지 않게 되어 미생물이 번식하게 되어 감염이 발생하게 되어 피부 손상이 있어나게 됩니다. 셋째, 체위변경을 할 때 잘못 들어 올리거나 침대에서 잘못해서 잡아끌게 되면 피부의 약한 부위가 벗겨져서 욕창이 생기게 됩니다. 넷째, 나이가 고령일수록 표피가 교체되는 주기가 늦어지게 되면서 표피층이 얇아지게 되면서 피지선 활동이 감소하고 피부 혈액 공급이 감소하고 모세혈관이 약화되게 되면서 생기게 됩니다. 의식이 없거나 장시간 동일한 자세로 있어도 불편함을 못 느끼거나 자세를 바꿀 수 없는 분들에게 생기는 현상입니다.

2. 욕창의 단계마다 나타나는 증세에 따른 치료와 대처방법

욕창은 보통 환자의 움직임을 보는 가동성과 환자의 영양상태, 피부 마찰에 따른 피부가 밀리는 현상 등의 요인에 따라 나타나는 증세를 4단계로 분류합니다. 첫째, 1단계에서는 피부 손상은 보이지 않고 피부색이 분홍색이나 푸른색일 띄는 염증이나 발적이 보이게 됩니다. 욕창 부위를 손으로 누르면 색상이 일시적으로 없어지면서 하얗게 보이게 되었다가 원래대로 피부 상태가 돌아가게 되며 피부가 따뜻하고 단단한 느낌이 있습니다. 1단계에서는 비누와 물로 환부를 깨끗하게 닦고 드레싱을 자주 교체하고 보습을 해주면서 체위변경만으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둘째, 2단계에서는 진피 측까지 손상되어 표면적인 궤양이나 찰과상과 물집이 생기게 되며 피부 지방층까지 상처가 침범하게 되어 깊어 부종이 있고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체위변경 등을 통해 압력을 받는 부위를 완화시켜주고 환부를 깨끗하게 세척과 소독하고 드레싱 등의 치료를 병행하면 보통 1~2주 정도에는 회복이 가능합니다. 셋째, 3단계는 피부와 피하지방을 포함한 진층이 파괴되어 악취를 동반한 깊은 욕창이 생기게 되고 괴사조직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에는 통증이 없고 부종이 심하게 되어 직접적인 수술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4단계에는 전층이 파괴되고 근육과 인대, 뼈, 관절 등 광범위하게 조직이 손상이 되어 괴사조직이 보이며 피부이식이나 신체 다른 부위의 전체 피부를 가져와 욕창 부위를 덮는 수술인 피판술(Skin flap surgery)이나 괴사조직 제거 수술과 드레싱을 병행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욕창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매일 아침과 저녁으로 피부 상태를 점검해야 하며 피부가 붉게 바뀐 부위가 생겼는지와 체위변경을 해도 그 부위가 여전히 그대로 붉은 피부인지를 관찰해야 합니다. 그리고 같은 자세로 2시간 이상 있으면 안 되고 몸을 한 번씩 돌려주면서 자세를 변경해주는 것이 좋으며 환자를 이동시킬 때는 피부가 밀리지 않게 이동을 해야 합니다.

여러분께서는 욕창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으셨습니다. 욕창은 피부에 상처가 생기게 되면 세균들이 살아남으려고 군집을 만들게 되고 이는 나쁜 세균막을 형성하여 증식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세균막 필름은 빠르게 상처에 붙어서 견고하게 형성하며 약물 침투가 어렵게 되어 상처가 회복하는 게 더디게 되거나 정체가 되어 만성이 되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